문제 설명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(a1, a2, a3, ..., an)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-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-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제한사항]
-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-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-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처음엔 우선순위 큐의 Comparator 을 길이로 비교하여 정렬 후 Set 할 예정이었으나 잘되지 않아서
될 때까지 브루트포스 모드로 알고 있는 자료구조를 총 동원해서 풀었습니다.
1. 첫번째 와 마지막 문자 (중괄호) 를 substring() 를 통해 지워줍니다.
2.그 후 닫는 중괄호 "}" 가 나올 때 까지 스택에 add 하고 임시 문자열 변수 str 에 추가합니다
3. StringBuilder 를 이용하여 문자열 앞뒤 반전을 해줍니다.
<중요 하다고 생각했슴>
4.그리고 Deque 를 이용하여 비어있다면 문자열 추가
Deque 의 첫 문자열 의 길이가 현재 str 의 길이보다 길다면 addFrist()
현재 str 의 길이가 Deque 의 첫 문자열 길이보다 길다면 addLast() 를 통해
오름차순 정렬을 해줍니다.
5. 문자열 배열을 Deque 길이만큼 만들어주고 Iterator 을 통해 초기화 해줍니다
6.문자열 배열도 Arrays.sort() 에 Comparator() 을 생성하여 길이 정렬을 해줍니다.
7.다시 문자열 배열을 반복하여 쉼표가 나올때마다 끊어주며 Set 에 Integer으로 변환한 값을 넣어줍니다.
8. int 형 배열을 set.size() 로 생성후 다시한번 Iterator을 통해 Set의 값을 int 배열에 초기화해줍니다.
아래는 코드입니다.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static String reverse(String str) {
return new StringBuilder(str).reverse().toString();
}
public int[] solution(String s) {
Stack<String> stack = new Stack<String>();
Deque<String> dq = new ArrayDeque<String>();
s = s.substring(1, s.length()-1);
String str = "";
for(int i=0; i<s.length(); i++){
String temp = Character.toString(s.charAt(i));
if(temp.equals("}")){
loop:
while(true){
String st = stack.pop();
if(st.equals("{"))break loop;
str += st;
}
str = reverse(str);
if(dq.isEmpty()){
dq.addFirst(str);
}else{
int dqLen = dq.peek().length();
if(dqLen > str.length()){
dq.addFirst(str);
}else{
dq.addLast(str);
}
}
str = "";
}else{
stack.add(temp);
}
}
Iterator<String> iter = dq.iterator();
String [] arr = new String[dq.size()];
int index = 0;
while(iter.hasNext()){
String temp = iter.next();
arr[index++] = temp;
}
Arrays.sort(arr , new Comparator<String>() {
@Override
public int compare(String o1, String o2) {
// TODO Auto-generated method stub
return o1.length() - o2.length();
}
});
Set<Integer> set = new LinkedHashSet<Integer>();
for(String temp : arr){
String tempQ = "";
for(int start=0; start<temp.length(); start++){
String tempC = Character.toString(temp.charAt(start));
if(tempC.equals(",")){
set.add(Integer.parseInt(tempQ));
tempQ = "";
}else{
if(start == temp.length()-1){
tempQ += tempC;
set.add(Integer.parseInt(tempQ));
tempQ = "";
}else{
tempQ += tempC;
}
}
}
}
Iterator<Integer> it = set.iterator();
int [] answer = new int [set.size()];
int answerIndex = 0;
while(it.hasNext()){
int value = it.next();
System.out.println(value);
answer[answerIndex++] = value;
}
return answer;
}
}
총 115 자의 효율도 떨어지고 길고 가독성도 낮은 코드를 작성하였지만
몇일 전까지만 해도 프로그래머스 Lv.2 를 푸는게 힘들었지만 이젠 시간을 쏟으면 풀 수 있어 기쁩니다.
다른사람의 풀이를 참고하여 나은 코드를 공부하러 가보겠습니다.
'알고리즘 공부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Level 3 - 그래프 - 가장 먼 노드 (0) | 2022.08.18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Level 3 - 이분탐색 - 입국심사 (0) | 2022.08.11 |
프로그래머스 Level 2 -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- 오픈채팅방 (0) | 2022.08.10 |
프로그래머스 Level 2 - DFS/BFS - 게임 맵 최단거리 (0) | 2022.08.10 |
프로그래머스 Level 2 - Heap - 더 맵게 (0) | 2022.08.09 |